본격적으로 리액트를 배우기 전에 먼저 개발환경을 구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개발환경이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않으면 실습을 따라올 수 없기 때문에, 꼭 아래 프로그램들이 제대로 설치가 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다음장으로 넘어가시기 바랍니다.
이 문서에서는 모든 실습이 Mac OS 기반으로 진행되지만, Windows에서도 동일하게 모든 과정을 다 따라오실 수 있습니다. Mac OS에서는 터미널(Terminal)이라고 부르는 명령줄 기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게 되는데, Windows를 사용하실 경우 PowerShell이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됩니다. 그리고 이 장의 마지막에 설치하게 될 VS Code에는 터미널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VS Code를 설치한 이후에는 별도로 외부의 터미널이나 PowerShell을 사용할 일이 거의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
먼저 Node.js와 npm을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Node.js는 쉽게 말해서 자바스크립트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게 해주는 환경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리고 npm은 node package manager의 약자로, Node.js를 위한 패키지 매니저입니다. 패키지 매니저가 하는 역할은 프로젝트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외부 패키지들의 버전과 의존성을 관리하고 편하게 설치 및 삭제를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참고로 npm은 Node.js를 설치하면 자동으로 함께 설치가 됩니다. 그럼 이제 Node.js를 설치해볼까요? 설치를 위해 아래 주소로 접속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올 것입니다. 여기에서 왼쪽에 있는 'Get Node.js' 버튼을 눌러서 나오는 페이지에서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기 바랍니다. 현재 22번대 버전이 안정화된 버전이고, 24번대 버전이 최신 버전입니다. 저희는 이번 실습에서 22번대 버전을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꼭 22번대 버전을 사용해야하는 것은 아니지만, 원활한 실습 진행을 위해서 Node.js의 버전은 최소 22.18.0 이상이어야 하고 npm의 버전은 10.9.3 이상이어야 합니다.
Node.js가 모두 다 설치되었다면, Mac OS의 터미널 또는 Windows의 PowerShell을 열어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고 엔터키를 누릅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설치된 Node.js의 버전이 출력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 node --version
v22.18.0
그리고 아까 Node.js를 설치하면 npm이 함께 설치된다고 설명드렸었죠? 위와 동일하게 설치된 npm의 버전을 확인하기 위해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고 엔터키를 눌러보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설치된 npm의 버전이 출력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 npm --version
10.9.3
이렇게 Node.js와 npm이 모두 설치된 것을 확인하셨다면 다음으로 넘어가면 됩니다.
우리가 코딩을 할 때 단순히 메모장 같은 텍스트 편집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코드 자동 정렬, 함수 참조 찾기 등의 부가적인 기능들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더 수월하게 코딩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통합 개발 환경(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이라고 부릅니다.
이 문서에서는 IDE로 VS Code를 사용하게 됩니다. VS Code는 Microsoft에서 개발했고 무료로 사용이 가능한 IDE입니다. VS Code에는 쉽게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는 수많은 플러그인이 있기 때문에 단순히 자바스크립트나 리액트 개발 뿐만 아니라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딩을 할 때도 사용 가능합니다. 이제 VS Code를 설치하고 리액트 개발을 위해 환경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VS Code를 다운로드 받기 위해서 아래 주소로 접속합니다.
https://code.visualstudio.com/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에서 화면에 보이는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서 설치 파일을 다운 받습니다. Windows에서는 Windows에 맞는 설치 파일이 보일 것이기 때문에, 동일하게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서 설치 파일을 다운 받으면 됩니다.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설치 파일을 실행시켜서 VS Code를 설치해주시기 바랍니다.
VS Code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다면, 한 번 실행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실행을 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지금은 아무것도 없는 빈 화면이 보이게 됩니다.
상단 메뉴에서 Terminal > New Terminal
을 선택하면 하단에 VS Code에 내장되어 있는 터미널이 나오게 됩니다. 이제 앞으로는 이 터미널을 이용해서 커맨드 라인 명령어들을 실행하면 됩니다.
마지막 업데이트: 2025년 08월 25일 05시 52분
이 문서의 저작권은 이인제(소플)에 있습니다. 무단 전재와 무단 복제를 금합니다.